고 구 려 연 표 | |||
왕 | 재위연도 |
| |
1 | 동명성왕 | BC 37∼BC 19년 |
|
2 | 유리명왕 | BC 19∼18년 | -주몽의 맏아들 -재위 22년에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|
3 | 대무신왕 | 18~44년 | -활발한 정복활동으로 주변 소국 병합 -좌보(左輔), 우보(右輔) 체제의 마련 |
4 | 민중왕 | 44~48년 | -장사를 지낸 곳의 지명을 따서 왕호를 정하는 15왕(민중왕, 모본왕, 고국천왕, 산상왕, 동천왕, 중천왕, 서천왕, 봉상왕, 미천왕, 고국원왕, 소수림왕, 고국양왕, 안원왕, 양원왕, 평원왕) 중에서 첫 사례 |
5 | 모본왕 | 48~53년 |
|
6 | 태조대왕 | 53~146년 | -실질적 왕위세습체제의 구축. 국조왕(國祖王)으로도 불림 -옥저, 요통, 현토 등을 정벌해 영토를 크게 확장 |
7 | 차대왕 | 146~165년 | -태조왕의 동생 -명림답부에 의해 죽임을 당함 |
8 | 신대왕 | 165~179년 | -군국(軍國)을 총괄하는 국상(國相)을 처음으로 둠 |
9 | 고국천왕 | 179~197년 | -을파소를 등용해 강력한 중앙집권체제 구축 |
10 | 산상왕 | 197~227년 | -고국천왕의 둘째 동생으로 형인 발기(發岐)와 왕권쟁탈전을 벌여 승리 |
11 | 동천왕 | 227~248년 | -요동방면으로의 적극 진출 -위나라의 공격으로 환도성이 함락되기도 함 |
12 | 중천왕 | 248~270년 |
|
13 | 서천왕 | 270~292년 | -숙신 토벌 |
14 | 봉상왕 | 292~300년 | -선비족인 모용외의 침입 격퇴 -창조리 등의 신하들의 불신을 받은 끝에 자살 |
15 | 미천왕 | 300~331년 | -현토군, 서안평 정벌. 낙랑군과 대방군을 한반도에서 몰아냄 |
16 | 고국원왕 | 331~371년 | -전연 모용황의 침입으로 환도성 함락 -백제와의 평양성 전투에서 전사 |
17 | 소수림왕 | 371~384년 | -불교 수용, 율령반포, 태학 설치 등 국내외 체제 정비 |
18 | 고국양왕 | 384~391년 |
|
19 | 광개토왕 | 391~413년 | -거란, 후연, 동부여, 백제 등 정벌해 영토 확장 |
20 | 장수왕 | 413~491년 | -중국 남북왕조에 대한 양면외교 전개 -백제 압박 통해 한강유역 차지 |
21 | 문자명왕 | 491~519년 | -장수왕의 외교 정책 계승해 남조의 제와 양, 북조의 위에 대한 양면외교 전개 -고구려의 국제적 지위 확고히 함 -금강사를 창건하는 등 불교 진흥 |
22 | 안장왕 | 519~531년 |
|
23 | 안원왕 | 531~545년 |
|
24 | 양원왕 | 545~559년 |
|
25 | 평원왕 | 559~590년 | -장안성으로 천도 -남조의 진, 북조의 북제와의 외교 적극 전개 -새로 부상하는 수에 대한 교섭 시도로 중국의 정세 변화에 대응 |
26 | 영양왕 | 590~618년 | -중국, 신라와의 관계 악화 -수나라의 침입 격퇴 |
27 | 영류왕 | 618~642년 | -도교 수용 -수나라와 당나라의 교체 -연개소문에 의해 죽음 |
28 | 보장왕 | 642~668년 | -연개소문에 의해 추대 -멸망 후 당에 끌려감 [출처] <삼국시대 연표>-고구려|작성자 river9100 |
백 제 연 표 | |||
왕 | 재위년도 | 주요 사건 및 의미 | |
1 | 온조왕 | BC18~28년 | -부여족의 시조인 동명왕의 사당을 세워 부여적 전통의 확립 |
2 | 다루왕 | 28~77년 | -온조왕의 맏아들 |
3 | 기루왕 | 77~128년 | -다루왕의 맏아들 |
4 | 개루왕 | 128~166년 |
|
5 | 초고왕 | 166~214년 | -백제 초기 왕계에서 비류계와 온조계로 구성되었다는 견해에서 다루왕-기루왕-개루왕을 비류계의 해씨로 보고 초고왕 이후부터를 온조계의 부여씨로 파악 -백제 왕계의 중시조(中始祖)의 위치 |
6 | 구수왕 | 214~234년 | -초고왕의 맏아들 -초고왕과 더불어 부여시 왕계의 중시조적 지위 |
7 | 사반왕 | 234년 | -구수왕의 맏아들 -어려서 정치를 할 수 없다하여 고이에 의해 폐위 |
8 | 고이왕 | 234~286년 | -16좌평, 16관등제의 토대 마련. -뇌물수수를 금지하는 금고법 제정 -정사를 논의하는 남당의 설치 -직사에 자리한 마한의 맹주국 목지국(目支國)을 병합해 중부한국 지역의 영도세력으로 자리매김 |
9 | 책계왕 | 286~298년 | -고이왕의 아들 |
10 | 분서왕 | 298~304년 | -책계왕의 아들 -낙랑을 공격했으나 도리어 낙랑태수가 보낸 자객에게 피살 |
11 | 비류왕 | 304~344년 | -구수왕의 둘째 아들이자 사반왕의 동생 -내신좌평 우복의 반란을 평정해 왕권을 안정시키고, 진씨 세력과 결합해 지배기반 확립 |
12 | 계왕 | 344~346년 |
|
13 | 근초고왕 | 346~375년 | -고구려와 옛 대방 지역을 둘러싸고 대립하던 중 고국원왕 피살시키는 등의 성과 -역사책 ‘서기(書記)’의 편찬 -외에 논어와 천자문 등을 전수 |
14 | 근구수왕 | 375~384년 | -태자 때부터 영산강 유역 정보, 고구려와의 전투에 참여하는 등 군사 운용에 큰 역할 -외척인 진고도에게 정사를 위임하고 자신은 병마권과 외교권을 관장해 고구려와의 전투주도 |
15 | 침류왕 | 384~385년 | -근구수왕의 장자 -불교 공인 |
16 | 진사왕 | 385~392년 | -근구수왕의 둘째 아들 -광개토왕의 남진정책에 밀려 관미성 등 상실 |
17 | 아신왕 | 392~405년 | -침류왕의 맏아들 -장인인 진무를 좌장으로 관미성 탈환에 노력 -태자 전지를 왜에 인질로 보내 우호 관계 마련 -광개토대왕의 공세로 많은 영토 상실하고 대신 등을 인질로 보내는 등 수모 |
18 | 전지왕 | 405~420년 | -아신왕의 맏아들 -왜국에 인질로 있다가 부왕이 죽자 귀국해 숙부인 혈례와 투쟁 끝에 등극 -왕을 옹립한 해씨 세력은 상좌평을 설치해 군국정사를 총괄 |
19 | 구이신왕 | 420~427년 | -전지왕의 아들 |
20 | 비유왕 | 427~455년 | -나제동맹을 결성해 고구려의 압박에 대응 -왜와의 우호관계 지속 |
21 | 개로왕 | 455~~475년 | -비유왕의 맏아들 -신라, 북위와의 연계를 통해 고구려의 압력에 대항 시도 -고구려의 첩자인 도림의 말에 현혹돼 국가 재정 탕진, 장수왕의 공격으로 수도 한성이 함락. 포로로 잡혀 죽음 |
22 | 문주왕 | 475~477년 | -웅진 천도 -병관좌평 해구에 피살 |
23 | 삼근왕 | 477~479년 |
|
24 | 동성왕 | 479~501년 | -남제와의 통교, 신라와의 혼인동맹 -임류각을 세우고 가림성 축조 -위사좌평 백가에 의해 암살 |
25 | 무령왕 | 501~523년 | -백가의 난 평정 후 왕권강화 도모 -왕족들을 담로에 파견해 지방 장학, 제방 수리로 농업생산력 향상, 유식자를 귀농시켜 민생 안정 도모, 가야 지역 진출해 섬진강 일대 확보, 고구려에 대한 공세적 입장 -양나라에 사신을 보내 백제가 다시 강국이 되었음을 천명 |
26 | 성왕 | 523~554년 | -재위 16년(538)에 사비 천도 -6좌평, 16관등제 등 중앙 관제 정비, 5방·군-성(현) 구조의 지방통치조직 정비 -불교 교단 정비 -신라, 가야와 함께 고구려를 쳐서 한강 하류의 6군을 회복했으나 진흥왕에게 빼김. 이후 관산성 전투에서 신라와 일대 회전을 벌이다 패배 후 전사 |
27 | 위덕왕 | 554~598년 | -태자시절 신라의 나제동맹 결렬에 신라 공격 주도 -남북조에 대한 등거리 외교 -수나라의 건국 시 발빠르게 접근 |
28 | 혜왕 | 598~599년 | -성왕의 아들 |
29 | 법왕 | 599~600년 |
|
30 | 무왕 | 600~641년 |
|
31 | 의자왕 | 641~660년 | -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백제 멸망 -중국에 포로로 잡혀가 죽음 [출처] <삼국시대 연표>-백제|작성자 river9100 |
신 라 연 표 | |||
왕 | 재위연도 | 주요사건 및 의미 | |
1 | 혁거세 거서간 | 서기전 57년 ~서기 4년 | -‘혁거세왕’은 ‘밝은 임금’ 혹은 ‘명왕(明王)을 의미 |
2 | 남해 차차웅 | 4~24년 | -혁거세의 아들. 처음으로 시조묘를 세워 혁거세를 제사지냄. -‘차차웅’은 ‘자충(慈充)’이라고도 하며 남해왕에게만 붙인 칭호. 김대문에 의하면 원래 무당을 일컫는 말이나 후에 존장자의 칭호로 사용 |
3 | 유리 이사금 | 24~57년 | -남해왕의 태자 -‘이사금’은 삼국사기에는 유리왕부터 18대 실성왕까지, 삼국유사에는 유리~16대 흘해왕까지 사용한 것으로 서술 |
4 | 탈해 이사금 | 57~80년 | -백제와의 전쟁을 통해 백제지역으로 영토를 넓힘 |
5 | 파사 이사금 | 80~112년 | -음즙벌국(≒경북 경주시 안강읍), 실직곡국(≒강원도 삼척), 압독국 등을 병합하는 등 활발한 정복활동 전개 |
6 | 지마 이사금 | 112~134년 | -파사왕의 아들 |
7 | 일성 이사금 | 134~154년 | -정사당(政事堂)의 설치. 신료들이 모여 국사를 의논하던 일종의 정청 -주와 군의 제방을 수리해 권농, 민간에 금은과 주옥(珠玉)의 사용 금지 |
8 | 아달라 이사금 | 154~184년 | -박씨의 마지막 왕. 이후 석씨가 왕위를 이음 -계립령(≒경북 문경 가은읍과 충북 괴산 연풍면 사이), 죽령(≒경북 영주 풍기읍과 충북 단양 대강면 사이)의 길을 열어 신라가 소백산맥 이북까지 세력을 확장하는 단초 마련 |
9 | 벌휴 이사금 | 184~196년 | -탈해왕 이후 끊어진 석씨 왕통을 다시 이음. 석씨왕조의 중시조 -좌우군주를 처음으로 설치. 소문국을 정벌하는(≒경북 의성군 금성면) 등 영토확장의 단초 마련 |
10 | 나해 이사금 | 196~230년 | -가야와 화친을 맺어 보상 8국이 침입한 것을 구원해 줌 |
11 | 조분 이사금 | 230~247년 | -감문국(≒경북 김천시 개령면), 골벌국(≒경북 영천)을 병합 |
12 | 첨해 이사금 | 247~261년 | -고구려와 화친 -남당(南堂, 초기 정사논의 행정 처리 및 집행, 연회 및 기타 의식 거행하는 기능을 하나 이후 실무 업무는 다른 기관으로 분리하고 오로지 군신회의, 회견, 의식만을 거행)의 설치 |
13 | 미추 이사금 | 262~284년 | -김알지의 7세손으로 김씨로는 처음 왕위에 오름 -미추는 ‘원(元)’, ‘본(本)’의 뜻으로 시조왕의 의미를 지님 |
14 | 유례 이사금 | 284~298년 | -백제와 화친을 맺고 왜의 정벌 시도 |
15 | 기림 이사금 | 298~310년 | -왜국과의 사신 교환 |
16 | 흘해 이사금 | 310~356년 | -벽골지의 조성, 농시(農時)를 빼앗지 못하게 하는 명령을 내리는 등 권농정책 실시 |
17 | 나물 이사금 | 356~402년 | -이후 종전의 3성 교립이 없어지고 김씨가 왕위를 세습 -377, 382년에 두 차례 전진에 사신을 파견한 점으로 보아 신라의 비약적 발전 추정 |
18 | 실성 이사금 | 402~417년 | -대마도 정벌 시도 |
19 | 눌지 마립간 | 417~458년 | -실성왕을 시해하고 즉위 -고구려의 군사적 압박을 피하기 위해 백제와 동맹 -왕위의 부자세습제 확립 |
20 | 자비 마립간 | 458~479년 | -왕경 방리(坊里·6부의 하부 행정구역)의 이름을 정함 -장수왕의 백제 침입 당시 백제를 도움 |
21 | 소지 마립간 | 479~500년 | -신궁과 우역(郵驛)을 처음 설치 -백제와의 혼인으로 동맹을 더욱 공고히 함 |
22 | 지증 마립간 | 500~514년 | -영토의 확장, 국호 및 왕호의 개칭, 우경의 실시, 순장 금지, 군현의 설치 등 신라 발전의 기틀 조성 |
23 | 법흥왕 | 514~540년 | -율령 반포, 상대등 병부의 설치 등을 통한 통치 기반 확립 -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 -금관가야를 정복해 영토확장 -삼국유사는 법흥왕대부터를 중고기(中古期)로 서술 |
24 | 진흥왕 | 540~576년 | -한강유역까지 영토 확장, 대가야 정복 등 영토를 크게 넓힘 -순수비의 건립 -화랑도 공인 -국사 편찬 -황룡사 장육존상의 주조와 팔관회 최초 개최 |
25 | 진지왕 | 576~579년 | -진흥왕의 둘째 아들 -삼국유사에는 음란한 짓을 많이 해 폐위되었다고 서술 |
26 | 진평왕 | 579~632년 | -중앙 통치제도의 정비 -수, 당과 통교해 대중국 외교의 단서를 만듬 |
27 | 선덕여왕 | 632~647년 | -귀족자제의 당 국학 입학, 황룡사 9층 목탑 건축 등 문화적 업적 -대당 외교의 강화 -김춘추, 김유신을 중용해 삼국통일의 기반 마련 |
28 | 진덕여왕 | 647~654년 | -중국의 의관제도와 연호의 사용 시작 -당과의 군사동맹 체결 -마지막 성골 왕통 -삼국사기는 진덕여왕대까지를 상대(上代)로 규정 |
29 | 태종무열왕 | 654~661년 | -진골 출신의 첫 임금 -삼국통일의 도모 |
30 | 문무왕 | 661~681년 | -백제 고구려에 도호부를 설치해 직접 지배를 노리는 당과 싸워 676년 한반도 통일 완수 -새로운 역법의 사용 |
31 | 신문왕 | 681~692년 | -문무왕의 맏아들 -김흠돌의 난 진압과 국학의 설치, 중앙 및 지방제도의 정비 및 오며제의 제정 등을 통한 중대 전제왕권의 확립 |
32 | 효소왕 | 692~702년 | -신문왕의 맏아들 |
33 | 성덕왕 | 702~737년 | -신문왕의 둘째 아들 -나당 전쟁으로 소원해진 당과의 관계 회복 -백성에게 정전 지급을 통한 민심 안정과 장성축조를 통한 외적 침입 대비 -대동강 이남의 국경 확정 -당의 요청에 따른 발해 공격 |
34 | 효성왕 | 737~742년 | -성덕왕의 둘째 아들 -성덕왕의 친당 정책을 승계 |
35 | 경덕왕 | 742~765년 | -효성왕의 동생 -대부분의 관직과 일부의 관서를 중국식으로 개명, 지방의 군현명도 한식(漢式)으로 고쳐 개편 -패강지역에 대곡성 등의 군현을 설치해 통치 강화 -녹봉 폐지, 녹읍 부활 |
36 | 혜공왕 | 765~780년 | -8세에 즉위해 어머니인 만월부인의 섭정 -대공과 대렴의 난(4년), 김융의 난(6년), 김은거·염상·정문(11년)의 반란. 16년 김지정의 난 와중에 죽음, 신라 중대 왕실의 마지막 |
37 | 선덕왕 | 780~785년 | -김지정의 난을 진압 후 등극. 하대 왕실의 시작 -패강진 개척 |
38 | 원성왕 | 785~798년 | -주의 장관인 총관의 명칭을 도독으로 바꿈 -독서출신과를 설치해 유교 소양의 관료 배출 -신라 하대는 원성왕의 후손들이 왕위 |
39 | 소성왕 | 799~800년 | -원성왕의 손자 |
40 | 애장왕 | 800~809년 | -13세에 즉위해 김언승의 섭정 -공식령 20조 반포, 12도에 사신을 보내 군읍의 경계를 정함 -일본과의 외교 재개 |
41 | 헌덕왕 | 809~826년 | -조카인 애장왕을 섭정하다 난을 일으켜 시해하고 등극 -814년 이후 8년 동안 천재지변과 기근으로 정국 불안 -김헌창의 난 |
42 | 흥덕왕 | 826~836년 | -장보고의 청을 수용해 청해진 설치 -귀족들의 사치풍조를 막기 위해 사회생활 전반에 제한령을 반포하는 등 개혁정치 단행 |
43 | 희강왕 | 836~838년 | -김명, 이홍의 난 때 자살 |
44 | 민애왕 | 838~839년 | -희강왕을 핍박 해 죽인 뒤 즉위 -김우징 일파에 의해 시해 |
45 | 신무왕 | 839년 | -장보고의 군사를 빌어 민애왕 축출 후 즉위 |
46 | 문성왕 | 839~857년 | -장보고의 청해진 세력 제거 등 왕권 안정 시도 -홍필의 반란, 양순과 흥종의 모반, 김식의 반란 등 |
47 | 헌안왕 | 857~861년 | -문성왕의 유조에 의해 즉위, 사위에게 왕위를 물려줌 |
48 | 경문왕 | 861~875년 | -감은사, 황룡사, 국학에 거둥. 숭복사 중창, 황룡사 9층 목탑 개수 등 불교와 유학에 남다른 관심 -관제 개혁을 통한 권력집중 시조 -윤흥과 숙흥의 반란, 김열과 김현이 모반, 근종의 반란 |
49 | 헌강왕 | 875~886년 | -35 금입택의 존재 등 통일신라의 태평시대 구가 |
50 | 정강왕 | 886~887년 | -경문왕의 둘째 아들 |
51 | 진성여왕 | 887~897년 | -경문왕의 딸 -즉위 직후 1년간 면세 등 민심 수습 주력 -위홍의 집권 이후 정치기강 해이, 각처의 도적 봉기 |
52 | 효공왕 | 897~912년 | -견훤과 궁예의 칭왕과 건국, 후삼국시대의 개막 |
53 | 신덕왕 | 912~917년 | -박씨 왕. 신덕왕 이후 3대가 박씨가 즉위 |
54 | 경명왕 | 917~924년 | -후삼국 시대의 쟁패전 가속 -현승의 반란 |
55 | 경애왕 | 924~927년 | -왕건이 후백제를 정벌할 때 군사를 내는 등 고려와 밀착, 견훤에 의해 살해 |
56 | 경순왕 | 927~935년 | -고려에 항복 [출처] <삼국시대 연표>-신라|작성자 river9100 |
1 | 태조 918~943 | 918 건국 935 신라병합 936 후삼국 통일 940 역분전의 실시 943 훈요십조 반포 | 926 발해 멸망 | |
2 | 혜종 943~945 | |||
3 | 정종 945~949 | 947 요의 건국, 광군 조직-거란 침입대비 | ||
4 | 광종 949~975 | 943 노비안검법실시-왕권의 강화 958 과거제 실시-왕권의 강화 960 칭제건원-왕권의 강화 962 송에 사절 파견-여송 관계의 시작 963 송, 고려에 답빙 | 960 조광윤의 송 건국 | |
5 | 경종 975~981 | 976 전시과 시작 | ||
6 | 성종 981~997 | 983 상주 지방관의 파견, 12주목 설치-지방에 대한 중앙의 통제 993 거란 1차 침입-여송 관계 단절 요구, 서희의 담판, 강동6주의 획득 공해전 지급-지방제의 정비 994 여송 관계의 단절-고려의 군사지원 요청에 대한 송의 거절이 원인 995 주현 체계의 성립 6위 완비 추정, 12군 절도사제-군조직의 중앙집권화 981 중서문하성의 성립-체제정비 982 외관파견-지방제 정비, 지방에 대한 중앙의 직접 통제 | 986 거란, 발해 유민의 정안국 멸망 | |
7 | 목종 997~1009 | 998 전시과 개정 | ||
8 | 현종 1009~1031 | 1009 강조의 정변 1010 거란 2차 침입-여송 관계의 단절 요구 1014~1015 거란의 재차 침입 1018 거란 3차 침입-강감찬의 귀주대첩 4도호부 8목 56개 주군 28개 진장 20개 현 | ||
9 | 덕종 1031~1034 | |||
10 | 정종 1034~1046 | |||
11 | 문종 1046~1083 | 1071 여송, 국교 재개-송의 요청에 따른 것 1076 전시과 경정, 녹봉제의 완비 | ||
12 | 순종 1083~1083 | |||
13 | 선종 1083~1094 | 1087 초조대장경의 완성 | ||
14 | 헌종 1094~1095 | |||
15 | 숙종 1095~1105 | 1095 이자의의 난 1104 윤관의 별무반 설치 | ||
16 | 예종 1105~1122 | 1107 윤관의 여진 정벌 | 1114 아골타, 요에 대한 군사행동 개시 1115 금의 건국 | |
17 | 인종 1122~1146 | 1126 이자겸의 난 1128 송, 금에 대한 가도(假道) 요청 1135 묘청의 난 1145 삼국사기 편찬 | 1125 요 멸망, 금의 대고려 강경책 시작 1126 북송 멸망 1127 남송 건국 | |
18 | 의종 1146~1170 | 1170 무신정권 성립-1270(원종11)까지 100년간 지속 | ||
19 | 명종 1170~1197 | 1171 이의방의 이고 숙청 1172 무신정권 최초의 민란 발생 1173 김보당의 난-반무신란의 성격, 이의민의 의종 살해 1174 조위총의 난-반무신란의 성격, 정중부의 이의방 제거1176 망이·망소이의 난 1179 경대승, 정중부 제거 1183 경대승 사망 1193 김사미․효심의 난 1196 최충헌 집권 | ||
20 | 신종 1197~1204 | 1198 만적의 난 | ||
21 | 희종 1204~1211 | 1209 교정도감 설치 | ||
22 | 강종 1211~1213 | |||
23 | 고종 1213~1259 | 1217 고구려부흥운동 1219 최충헌 사망, 최우 집권 1225 정방 설치 1227 서방 설치 1236 팔만대장경 제작 시작(~1251) 1237 백제부흥운동 1249 최우 사망, 최항 집권 1257 최항 사망, 최의 집권 1258 김준 등의 최의 살해-최씨 정권의 붕괴 원, 쌍성총관부 설치-동북면 지배 | ||
24 | 원종 1259~1274 | 1268 김준 제거, 임연 집권 1270 임연 병사, 임유무 집권-송송례 등의 임유무 제거, 무신 정권 종료 삼별초 혁파-삼별초의 난 원, 서경에 동녕부 설치-서북면 지배 1271 원, 둔전경략사 설치-일본 원정에 고려 동원 녹과전제의 실시-전시과 붕괴에 따른 녹봉제 보완 1273 삼별초의 난 평정 원, 탐라총관부 설치-일본 정벌 전진 기지 1274 여원, 1차 일본정벌 | ||
25 | 충렬왕 1274~1298.1 1298.8~1308.7 | 1280 원, 정동행성 설치 1281 여원, 2차 일본정벌 1290 동녕부 반환 1294 원 세조의 죽음-일본 정벌 중단 | ||
26 | 충선왕 1298.1~1298.8 1308.7~1313.3 | 1312 입성책동 무산 | ||
27 | 충숙왕 1313.3~1330.2 1332.2~1339.10 | 1323 입성책동 재발 | ||
28 | 충혜왕 1330.2~1332.2 1339.10~1344.2 | |||
29 | 충목왕 1344~1348 | 1347 정치도감 설치-개혁정치 | ||
30 | 충정왕 1349~1351 | |||
31 | 공민왕 1351~1374 | 1352 원간섭기 종료 1359 홍건적 1차 침입 1356 쌍성총관부 수복 1361 홍건적 2차 침입 1365 신돈 등용 1366 전민변정도감 설치 1367 성균관 중영 1368 명의 건국 1369 원 연호의 사금 중지 1371 신돈 처형 명의 요동 진출-여․명 관계의 악화 | ||
32 | 우왕 1374~1388 | 1388 위화도 회군 | ||
33 | 창왕 1388~1389 | |||
34 | 공양왕 1389~1392 | 1391 과전법 공포 |
대 | 왕 | 즉위년도 | 재위기간 | 주요 일지 |
1 | 태조(太祖) | 1392 | 6 | -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, |
2 | 정종(定宗) | 1398 | 2 | -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. |
3 | 태종(太宗) | 1400 | 18 | -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 |
4 | 세종(世宗) | 1418 | 32 | -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 |
5 | 문종(文宗) | 1450 | 2 | - 유교적 이상 정치 |
6 | 단종(端宗) | 1452 | 3 | - 12살에 왕위에 올랐으나 계유사화로 |
7 | 세조(世祖) | 1455 | 13 | - 단종을 좇아내고 왕위에 오른 수양대군 |
8 | 예종(睿宗) | 1468 | 1 | -직전수조법(職田收租法)을 제정하여 둔전(屯田)의 민경(民耕)을 허락하였다. |
9 | 성종(成宗) | 1469 | 25 | - 숭유억불, 인재등용 등 조선초기의 문물 |
10 | 연산군(燕山君) | 1494 | 12 | - 폭군으로 무오사화, 갑자사화를 일으켜 많은 |
11 | 중종(中宗) | 1506 | 38 | - 혁신정치를 기도하였으나 훈구파의 원한으로 |
12 | 인종(仁宗) | 1544 | 1 | - 기묘사화로 없어진 현량과를 부활함. |
13 | 명종(明宗) | 1545 | 22 | - 12세에 즉위하여 을사사화, 정미사화, |
14 | 선조(宣祖) | 1567 | 41 | - 16세에 즉위 |
15 | 광해군(光海君) | 1608 | 15 | - 당쟁으로 임해군, 영창대군을 역모로 죽이고 |
16 | 인조(仁祖) | 1623 | 26 | - 이괄의 난, 병자호란, 정묘호란을 겪음 |
17 | 효종(孝宗) | 1649 | 10 | - 병자호란으로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 - 대동법을 전라도에 실시 |
18 | 현종(顯宗) | 1659 | 15 | - 즉위 초부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의해 많은 |
19 | 숙종(肅宗) | 1674 | 46 | - 남인, 서인의 당파싸움(기사사화) |
20 | 경종(景宗) | 1720 | 4 | - 숙종의 아들로 장희빈 소생. |
21 | 영조(英祖) | 1724 | 52 | - 탕평책을 써서 당쟁을 제거에 힘씀 |
22 | 정조(正祖) | 1776 | 24 | - 탕평책에 의거하여 인재를 등용 |
23 | 순조(純祖) | 1800 | 34 | - 김조순(金組淳) 등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시대 |
24 | 헌종(憲宗) | 1834 | 15 | - 왕5년에 천주교를 탄압하는 기해사옥 발생 |
25 | 철종(哲宗) | 1849 | 14 | - 헌종이 후사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황후의 |
26 | 고종(高宗) | 1863 | 44 | -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|
27 | 순종(純宗) | 1907 | 3 | - 고종의 둘째 아들 |
(자료 : 국사편찬위원회, 조선사실록)
일제 강점기 연표
출저:http://kin.naver.com/qna/detail.nhn?d1id=11&dirId=111001&docId=184280514&qb=7J287KCc6rCV7KCQ6riwIOyXsO2RnA==&enc=utf8§ion=kin&rank=1&search_sort=0&spq=0&pid=RIwqgU5Y7vlssZODftssssssstd-294223&sid=U6woRgpyVlwAAH7VN0Y
1897년 | 대한제국 |
| |||||||
1900년 |
| ||||||||
1910년 | 일 제 강 점 기 | 조선총독부 대한민국임시정부 |
| ||||||
1920년 |
| ||||||||
1930년 |
| ||||||||
1940년 |
| ||||||||
1945년 | 군정기 |
|
'Study > Etc.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자성어 모음 (0) | 2015.08.09 |
---|---|
파워빌더 프로시저 사용 예제 (0) | 2014.10.22 |
PDA 에뮬레이터 크레들에 놓고 인터넷 연결 (0) | 2014.05.27 |
파워빌더 sqlca.sqlcode (0) | 2014.02.07 |
파워빌더 정리 (0) | 2013.03.23 |